엘앤에프, 2024 ESG 보고서 핵심포인트 3가지

You are currently viewing 엘앤에프, 2024 ESG 보고서 핵심포인트 3가지
엘앤에프, 2024 ESG 보고서 핵심포인트 3가지

[엘앤에프 ESG Report 2024 공개 – 기업이 신경 써야 할 지속가능경영 3가지 포인트]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소비자의 선택을 좌우하는 시대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신뢰가 가는 이차전지 소재 기업 ‘엘앤에프’가 20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개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모범을 또 한 번 보여줬습니다. 당신의 회사도 ESG 경영을 준비 중이라면 이번 엘앤에프 사례는 참고할 만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국제 ESG 공시 기준인 ISSB를 적용했고, ‘ESG Journey’라는 새로운 섹션을 추가해 주요 성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업 담당자, 투자자, 제조업 관계자라면 지금 확인해야 할 ESG 경영의 핵심 포인트, 요약해드립니다.

📌 “ESG, 이제는 말이 아닌 액션입니다. 그래서 중요한 건 성과와 투명성입니다.”

■ 핵심 1. ESG Journey: 연도별 성과를 한눈에

엘앤에프는 2022년 ESG 비전을 공식 발표한 이후, 매년 성과를 정리해 지속가능보고서를 갱신 중입니다. 올해 보고서에는 ‘ESG Journey’라는 섹션을 신설해, ESG 실천 과정의 주요 이정표를 시각적으로 구성했습니다. 연도별 인증 획득 내용, 이사회 산하 위원회 신설, 환경·보안 체계 수립 등 여러 활동이 명확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 만약 귀사도 ESG 활동을 시작했다면, 정량적 지표화와 연대기 구성은 보고서 신뢰도와 전달력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 됩니다.

■ 핵심 2. ISSB 기준 도입과 기후 리스크 공개

보고서 작성 기준은 단순히 내부 기준이나 국내 지침을 넘어서, 글로벌 공시 기준인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를 채택했습니다. 특히 눈길을 끌었던 부분은 다양한 '기후 리스크(물리·전환·시장·정책)'를 구분하고, 각각이 재무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공개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전 세계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기후 대응 수준을 충족시킨 사례로, ESG 정보 공개의 정밀함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 핵심 3. 자원·공급망까지 ESG 전방위 실천

엘앤에프는 2022년 업계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ZWTL)’ 국제인증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한 데 이어, 전 사업장에서 해당 인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PPA(전력구매계약) 체결 등 에너지 전환을 위한 실행도 빠르게 진행 중이죠.

더 나아가, 3TG(주석·텅스텐·탄탈륨·금)뿐 아니라 코발트, 리튬, 니켈, 망간까지 총 8종에 대한 공급망 실사를 강화한 ‘책임광물보고서’도 별도로 발간했습니다. 이는 환경뿐 아니라 '인권·노동 윤리' 측면에서도 ESG를 폭넓게 실천한 예입니다.

■ 요약 및 실행 TIP

  • ESG는 단순히 형식적 보고서가 아니라 실질적 접근이 필수입니다.
  • ‘ESG Journey’처럼 시각적・시간순 성과 정리는 보고서 읽는 이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글로벌 기준(ISSB 등)에 맞춘 리스크 공시와 공급망 관리 강화는 ESG 신뢰성 확보의 핵심입니다.

👉 만약 귀사나 조직이 ESG 보고서를 계획 중이라면, 엘앤에프 사례처럼 ‘성과의 구조화’와 ‘다층적인 공시 기준 반영’을 고려해보세요. 지속가능성은 결국 투명성의 싸움입니다.

📚 관련 자료 확인:
엘앤에프 공식 웹사이트: www.landf.co.kr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책임광물보고서 다운로드 가능.